시민단체 경실련이 21대 국회에 새로 등록한 국회의원 175명의 당선 전후 재산을 전수조사했습니다. <br /> <br />4·15 총선 전 입후보하며 등록한 재산과 당선 후 국회에 등록한 재산을 비교 분석한 겁니다. <br /> <br />먼저, 당선 후 신고한 전체 재산 평균은 28억 천만 원으로, 다섯 달 만에 1인당 평균 10억 원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전체 증가액을 합하면 천7백억 원에 이르는데, 상위 3명의 재산 증가액이 76%를 차지했습니다. <br /> <br />재산이 가장 많이 늘어난 의원은 국민의힘 전봉민 의원으로, 무려 866억 원이나 불어났습니다. <br /> <br />국민의힘 한무경 의원이 재산 288억 원, 더불어민주당 이상직 의원이 172억 원 늘어 뒤를 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대부분 비상장주식의 가치 등이 바뀐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습니다. <br /> <br />부동산 재산만 놓고 보면, 가장 증가액이 큰 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이수진 지역구 의원으로, 아파트 잔금 납부로 17억 7천만 원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신고 건수 차이가 가장 많이 나는 의원은 국민의힘 한무경 의원으로, 후보자 등록 때 토지 34필지를 1건으로 신고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더불어민주당 임오경 의원은 후보 당시 0건이었는데 12건이 추가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대해 한무경 의원 측은 행정 절차상 같은 땅을 쪼개서 신고했을 뿐이지 금액 변동은 없었다고, 임오경 의원 측은 부모님을 부양하지 않으면 신고 의무가 없어 고지를 거부했다고 해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경실련은 결과적으로 국민이 부정확한 재산 정보를 통해 후보를 평가하고 투표한 것이라며 정확한 조사가 즉시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[윤순철 / 경실련 사무총장 : 총선을 치렀는데도 불구하고 재산이 증가했느냐 이 문제는 애초에 선관위에 신고할 때 재산을 허위로 등록했다고 추정할 수밖에 없습니다.] <br /> <br />그러면서 당선 전후 금액이나 건수 차이가 큰 당사자들이 제대로 소명하지 못한다면 고발 등 법적 조치도 진행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: 강희경 <br />촬영기자: 윤소정 <br />그래픽: 정지원 박지원 <br />자막뉴스: 박해진 <br /> <br /> <br /> 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. <br />[카카오톡]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[전화] 02-398-8585 [메일] social@ytn.co.kr [온라인 제보] www.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00915053440641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